춘심 (春心)
발음 : [춘심 ]
명사 名詞
- 1. しゅんじょう【春情】。しゅんき【春機】。しゅんい【春意】남녀 사이에 성적으로 끌리는 마음.男女の間で性的に惹かれる心。
- 갑작스러운 춘심.
- 춘심이 일어나다.
- 춘심이 생기다.
- 춘심이 발동하다.
- 춘심을 느끼다. See More
- 그는 여자를 바라보며 여자의 춘심을 은근히 도발하려고 했다.
- 그들은 춘심을 이기지 못하고 서로를 껴안았다.
- 소년은 소녀를 보자 자신도 모르게 춘심이 발동하는 것을 느꼈다.
- 유의어 춘정
- 2. はるのおもい【春の思い】。しゅんじょう【春情】。しゅんき【春機】。しゅんい【春意】봄에 느끼는 마음속의 생각이나 느낌.春に感じる心の中の思いや感情。
- 정원의 춘심.
- 춘심이 일어나다.
- 춘심이 가득하다.
- 춘심을 노래하다.
- 춘심을 읊다. See More
- 꽃이 흐드러지게 피니 춘심이 절로 일어난다.
- 싱그러운 봄 경치를 보고 있자니 춘심도 싱그러워지는 것 같다.
춘정 (春情)
발음 : [춘정 ]
명사 名詞
- 1. しゅんじょう【春情】。しゅんき【春機】。しゅんい【春意】남녀 사이에 성적으로 끌리는 마음.男女の間で性的に惹かれる心。
- 뜻밖의 춘정.
- 춘정이 생기다.
- 춘정이 일어나다.
- 춘정이 발동하다.
- 춘정을 못 이기다. See More
- 그곳에서 춘정이 싹트는 젊은 남녀들은 서로를 탐하고 있었다.
- 그는 여자의 미모에 반하여 춘정을 참을 수가 없었다.
- 치솟는 춘정을 억누를 길이 없었던 남자는 여자의 옷소매를 잡아당겼다.
- 유의어 춘심
- 2. はるのおもい【春の思い】。しゅんじょう【春情】。しゅんき【春機】。しゅんい【春意】봄의 정취.春の趣。
- 은은한 춘정.
- 춘정을 즐기다.
- 춘정을 느끼다.
- 춘정을 선사하다.
- 춘정에 이끌리다. See More
- 그는 생동감이 넘치는 춘정에 이끌려 노래를 한 곡조 구성지게 뽑았다.
- 푸르게 드리운 버드나무들을 보니 춘정이 한껏 느껴지는구나.
- 가: 만개한 봄꽃이 내 마음을 흔들어 놓는구나.
- 나: 우리 이 꽃들이 지기 전에 마음껏 춘정을 즐기자.
춘추 (春秋)
발음 : [춘추 ]
명사 名詞
- 1. しゅんじゅう【春秋】봄과 가을.春と秋。
- 매해 춘추.
- 춘추의 기후.
- 춘추 외투.
- 춘추가 지나다.
- 춘추를 보내다.
- 어느덧 춘추가 다 지나고 겨울이 왔다.
- 우리는 매해 춘추마다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가족 나들이를 간다.
- 우리 학교는 춘추에 입는 교복이 여름이나 겨울에 입는 교복보다 예쁘다.
- 2. とし【年】한 해.一年。
- 여러 춘추.
- 지난 춘추.
- 춘추가 지나다.
- 춘추를 거듭하다.
- 춘추를 기록하다.
- 아이는 춘추를 거듭할수록 더욱 영특해졌다.
- 여러 춘추가 지나며 우리가 함께한 추억도 쌓여 갔다.
- 춘추가 지날수록 도전해 보지 못한 것들에 대한 후회가 남는다.
- ※ 주로 문어에서 쓴다.
- 3. おとし【お年】(높이는 말로) 어른의 나이.(尊敬語)目上の人の年齢。
- 아버님의 춘추.
- 어르신의 춘추.
- 춘추가 많다.
- 춘추를 여쭙다.
- 춘추를 가늠하다.
- 여든이 훌쩍 넘었다는 노인은 춘추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정한 모습이었다.
- 우리 할아버지는 올해 춘추가 여든이시다.
- 가: 아버지께서는 올해 춘추가 어떻게 되시나?
- 나: 올해 일흔이십니다.
춘추복 (春秋服)
발음 : [춘추복 ]
활용 : 춘추복이[춘추보기], 춘추복도[춘추복또], 춘추복만[춘추봉만]
춘풍 (春風)
발음 : [춘풍 ]
춘하추동 (春夏秋冬)
발음 : [춘하추동 ]
명사 名詞
しゅんかしゅうとう【春夏秋冬】。しき【四季】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
春・夏・秋・冬の四つの季節。
- 춘하추동 계절.
- 춘하추동이 뚜렷하다.
- 춘하추동이 분명하다.
- 춘하추동을 구별하다.
- 춘하추동을 보내다.
- 나무들은 여름의 무더위와 겨울의 매서운 바람이 있는 춘하추동을 겪으며 성장한다.
- 산은 춘하추동으로 그 색을 달리해 사계절 언제 가도 아름답다.
- 한국은 춘하추동이 뚜렷하여 사람들이 계절마다 걸맞은 옷을 입는다.
- 가: 춘하추동 중에 좋아하는 계절이 뭐야?
- 나: 나는 가을이 제일 좋아.
춘향 (春香)
발음 : [춘향 ]
춘향가 (春香歌)
발음 : [춘향가 ]
춘향전 (春香傳)
발음 : [춘향전 ]
춘화1 (春花)
발음 : [춘화 ]
명사 名詞
しゅんか・はるはな【春花】
봄에 피는 꽃.
春咲く花。
- 아름다운 춘화.
- 춘화가 만개하다.
- 춘화가 만발하다.
- 춘화가 피다.
- 춘화를 피우다.
- 목련은 삼월경에 꽃을 피우기 때문에 일명 춘화라고도 부른다.
- 봄이 되자 정원에 춘화가 가득 피었다.
- 유의어 봄꽃
춘화2 (春畫)
발음 : [춘화 ]
명사 名詞
しゅんが【春画】。わらいえ【笑い絵】。まくらえ【枕絵】
남녀가 성관계를 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男女の性交渉の様子を描いた絵。
- 일본의 춘화.
- 한국의 춘화.
- 춘화 작품.
- 춘화가 전시되다.
- 춘화를 그리다. See More
- 박 화백은 남녀의 성기를 구체적으로 묘사한 춘화 작품을 주로 그렸다.
- 엄격한 규율 속에 생활하던 양반들이 성생활을 적나라하게 그린 춘화를 비밀리에 즐겨 보았다.
- 조선 시대 유명 화가는 성행위를 노골적으로 그린 춘화 때문에 비판받았다.
- 가: 미술관에서 국내 작가들의 춘화와 풍속화를 전시한대.
- 나: 흥미롭기는 한데 보기 민망할 것 같아.
출가1 (出家)
발음 : [출가 ]
명사 名詞
- 1. いえで【家出】집을 떠남.家を出ること。
- 자녀의 출가.
- 출가 동기.
- 출가가 지연되다.
- 출가를 결심하다.
- 출가를 하다.
- 누나는 출가를 하려는 승규를 집 떠나면 고생이라며 만류하였다.
- 어머니는 내가 어릴 적에 아버지의 폭력에 못 이겨 가족을 버리고 출가를 하셨다.
- 2. しゅっけ【出家】불교에서, 괴로움이 가득한 현실 세상을 떠나 수행 생활에 들어감.仏教で、苦しみにあふれた世俗を離れ、修行する生活に入ること。
- 단기 출가.
- 출가 승려.
- 출가를 결심하다.
- 출가를 선택하다.
- 출가를 작심하다. See More
- 누나는 꽃다운 스무 살에 출가를 하여 절에 들어가 비구니가 되었다.
- 승규는 출가를 결심하여 머리를 삭발하고 불교에 귀의하였다.
- 3. しゅっけ【出家】가톨릭에서, 세상을 떠나 수도원으로 들어감.カトリックで、世俗を離れて修道院に入ること。
- 수도원 출가.
- 출가 동기.
- 출가를 결심하다.
- 출가를 선택하다.
- 출가를 작심하다.
- 지수는 출가를 하기로 결정하여 수녀원에 들어가 수녀가 되었다.
- 하나님의 섭리에 따라 출가를 선택하신 수도원 소속 신부님이 신앙 간증을 하셨다.
출가2 (出嫁)
발음 : [출가 ]
명사 名詞
よめいり【嫁入り】
처녀가 시집을 감.
娘が嫁ぐこと。
- 딸의 출가.
- 자녀의 출가.
- 출가 전날.
- 출가를 준비하다.
- 출가를 하다.
- 어머니는 혼자서 삼 남매 모두 양육하시고 결혼으로 출가를 시키기까지 고생이 많으셨다.
- 옛날에 딸은 출가를 하면 그 집안의 귀신이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 처녀가 나이가 차서 이웃 마을의 정 씨 집안으로 출가를 하게 되었다.
출가시키다1 (出家 시키다)
발음 : [출가시키다 ]
동사 動詞
- 1. いえでさせる【家出させる】집을 떠나게 하다.家から出るようにする。
- 출가시킨 까닭.
- 출가시킨 동생.
- 아들을 출가시키다.
- 자녀를 출가시키다.
- 강제로 출가시키다.
- 부모님은 형을 출가시키고 삼촌을 따라 다니며 장사를 배우게 하셨다.
- 우리 부부는 자녀들이 법적으로 성인이 되면 바로 출가시켜서 스스로 살도록 할 것이다.
- 문형 : 1이 2를 출가시키다
- 2. しゅっけさせる【出家させる】불교에서, 괴로움이 가득한 현실 세상을 떠나 수행 생활에 들어가게 하다.仏教で、苦しみにあふれた世俗を離れ、修行する生活に入るようにする。
- 출가시킨 날.
- 출가시킨 스님.
- 자녀를 출가시키다.
- 동자승으로 출가시키다.
- 절로 출가시키다.
- 가난했던 시절에는 입 하나라도 덜기 위해 자녀를 절로 출가시키는 일도 있었다.
- 부모님께서는 어린 동생을 출가시켜 동자승이 되게 하였다.
- 가: 스님께서는 어떤 사연으로 속세와 인연을 끊으셨나요?
- 나: 어린 시절 불교에 심취한 부모님께서 저를 출가시키셨답니다.
- 문형 : 1이 2를 출가시키다
- 3. しゅっけさせる【出家させる】가톨릭에서, 세상을 떠나 수도원으로 들어가게 하다.カトリックで、世俗を離れて修道院に入るようにする。
- 출가시킨 신부.
- 출가시킨 이유.
- 수녀를 출가시키다.
- 자녀를 출가시키다.
- 수도원으로 출가시키다.
- 동생을 수도원으로 출가시킨 후에는 수도원에서 허락한 시간에만 면회가 가능했다.
- 부모님께서는 신부가 되겠다는 형의 의견을 존중하여 수도원으로 출가시키셨다.
- 가: 아드님께서 신부님이 되신다고요? 축하드립니다.
- 나: 고맙습니다. 어린 것을 출가시킨 것이 엊그제 같은데 시간이 참 빠르네요.
- 문형 : 1이 2를 출가시키다
출가시키다2 (出嫁 시키다)
발음 : [출가시키다 ]
동사 動詞
よめいりさせる【嫁入りさせる】。とつがせる【嫁がせる】
처녀를 시집을 보내다.
娘を嫁がせる。
- 출가시킨 막내딸.
- 딸을 출가시키다.
- 큰딸을 출가시키다.
- 서른에 출가시키다.
- 부잣집으로 출가시키다.
- 우리 부부의 소원은 마흔이 넘은 첫째 딸을 어서 출가시키는 것이다.
- 유독 정성스레 키워 온 막내딸을 출가시키려니 가슴 한 구석이 서운하였다.
- 가: 따님을 출가시키고 나서 적적하지 않으세요?
- 나: 그렇긴 하지만 저희 내외의 사이가 돈독하니 괜찮답니다.
- 문형 : 1이 2를 출가시키다
출가외인 (出嫁外人)
발음 : [출가외인 /출가웨인 ]
명사 名詞
시집간 딸은 남이나 마찬가지라는 말.
嫁いだ娘は他人と同様という意を表す言葉。
- 출가외인 상속.
- 출가외인 취급.
- 출가외인 풍속.
- 출가외인이 되다.
- 출가외인으로 생각하다.
- 아버지는 시집간 딸은 출가외인이니 친정 일은 신경 쓰지 말라고 하셨다.
- 옛날에 어머니들은 시댁에서 딸이 쫓겨나도 여자는 결혼하면 출가외인이라며 돌려보냈다.
- 가: 부모님이 오빠에게만 재산을 물려주고 딸은 출가외인이라 주지 않겠대.
- 나: 지금이 조선 시대도 아니고 딸도 법적으로 엄연히 재산을 상속받은 권리가 있어.
'한국어기초사전 > 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격, 출격하다, 출고, 출고되다, 출고하다, 출구, 출국, 출국하다, 출근, 출근길 (0) | 2020.02.07 |
---|---|
출가하다¹, 출가하다², 출간, 출간되다, 출간하다, 출감, 출감되다, 출감하다, 출강, 출강하다 (0) | 2020.02.07 |
축하객, 축하연, 축하하다, 춘경, 춘계, 춘곤증, 춘궁기, 춘부장, 춘분, 춘삼월 (0) | 2020.02.07 |
축지법, 축척, 축축, 축축이, 축축하다, 축출, 축출되다, 축출하다, 축포, 축하 (0) | 2020.02.07 |
축적, 축적되다, 축적하다, 축전¹, 축전², 축제, 축제일, 축조, 축조되다, 축조하다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