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1
참고 :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どうして)のか。(どうして)のだろうか。
(아주낮춤으로) 어떠한 사실에 대해 자신에게 묻거나 불평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下称) ある事実について自問したり不平を言う意を表す「終結語尾」。
- 한복이 어쩜 이리도 곱담.
- 무슨 안개가 이렇게 심하담.
- 자기들끼리 뭐가 그리 웃기담?
- 친구인 나한테까지 어떻게 이럴 수가 있담.
- 사내로 태어나 어찌 그리도 마음이 여리담.
- 가: 얼마나 맛있었길래 배탈이 날 정도로 많이 먹었담?
- 나: 태어나서 먹어 본 음식 중에 제일 맛있었어.
-담3 (談)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접사 接辞
だん【談】
‘이야기’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物語」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경험담
- 모험담
- 목격담
- 무용담
- 여행담 See More
닭장 (닭 欌)
발음 : [닥짱 ]
명사 名詞
とりごや【鳥小屋】。けいしゃ【鶏舎】
닭을 가두어 놓고 기르는 곳.
鶏を囲って飼う所。
- 닭장 둘레.
- 닭장 문.
- 닭장 안.
- 닭장을 마련하다.
- 닭장을 짓다. See More
- 나는 닭들이 좀 더 넓은 공간에서 살 수 있도록 텃밭 한쪽에 넓은 닭장을 지었다.
- 키우는 닭이 점점 많아지면서 아버지는 닭장을 더 큰 것으로 바꾸셨다.
- 가: 저 닭장을 어떻게 청소하죠?
- 나: 먼저 바닥의 닭똥부터 치웁시다.
닭죽 (닭 粥)
발음 : [닥쭉 ]
활용 : 닭죽이[닥쭈기], 닭죽도[닥쭉또], 닭죽만[닥쭝만]
명사 名詞
とりがゆ【鶏粥】
닭고기를 넣어 만든 죽.
鶏肉を入れて作ったお粥。
- 뜨거운 닭죽.
- 닭죽을 끓이다.
- 닭죽을 만들다.
- 닭죽을 먹다.
- 닭죽을 쑤다.
- 삼계탕을 만들고 남은 닭고기로 닭죽을 만들어 먹었다.
- 우리는 더위로 떨어진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닭죽을 쑤어 먹었다.
- 가: 몸에 힘이 없고 소화도 잘 안 돼.
- 나: 그럼 보신 좀 하게 닭죽을 끓여 줄까?
닮다 ★★★
발음 : [담ː따 ]
활용 : 닮아[달마], 닮으니[달므니], 닮고[담ː꼬], 닮는[담ː는], 닮지[담ː찌]
동사 動詞
- 1. にる【似る】。にかよう【似通う】둘 이상의 사람 또는 사물이 서로 비슷한 생김새나 성질을 지니다.二つ以上の人や物が互いにほとんど同じ形や性質を持つ。
- 닮은 곳.
- 닮은 얼굴.
- 닮은 인상.
- 닮은 점.
- 눈이 닮다. See More
- 딸은 어머니의 미모를 그대로 닮아 예쁘장한 얼굴이었다.
- 아이의 걸음걸이가 부모와 닮아서 제 부모와 비슷하게 걷는다.
- 아들은 마치 아버지의 어릴 적 모습을 보는 듯이 제 아버지와 꼭 닮았다.
- 가: 저 자매는 서로 많이 닮았어.
- 나: 응, 생김새가 서로 비슷비슷해서 쌍둥이라고 해도 믿겠어.
- 가: 태어날 아기가 누구를 닮았으면 좋겠어요?
- 나: 음, 예쁜 우리 아내를 닮은 어여쁜 딸이었으면 좋겠어요.
- 문형 : 1이 (2와) 닮다, 1이 2를 닮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 2. にる【似る】。あやかる【肖る】어떤 것을 본떠서 그와 비슷해지거나 같아지다.何かを真似してそれと同じようになる。
- 마음을 닮다.
- 위인을 닮다.
- 인품을 닮다.
- 자연을 닮다.
- 주인을 닮다.
- 후배는 선배의 일하는 방식을 그대로 닮으려고 노력했다.
- 노부부는 오랫동안 함께 살아서인지 행동이 많이 닮아 있었다.
- 어머니는 말썽을 피우는 동생에게 착실한 형을 좀 닮으라고 말씀하셨다.
- 가: 이 위인전을 읽고 나니 이 사람의 용기를 닮고 싶어져.
- 나: 응, 그 위인의 용기는 우리가 정말 본받아야 할 덕목이야.
- 문형 : 1이 2를 닮다
닮은꼴
발음 : [달믄꼴 ]
명사 名詞
にたもの【似た者】。にたものどうし【似た者同士】。そうじけい【相似形】
서로 비슷하게 생긴 모양.
お互い似ているさま。
- 아버지의 닮은꼴.
- 어머니의 닮은꼴.
- 닮은꼴 배우.
- 부자가 닮은꼴이다.
- 생김새가 닮은꼴이다. See More
- 두 사람은 쌍둥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닮은꼴이었다.
- 감독은 그 배우가 맡았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닮은꼴 배우를 찾고 있다.
- 가: 모르는 사람이 봐도 딱 부자지간임을 알겠어.
- 나: 맞아. 아들이 아버지의 닮은꼴이야.
닳다 ★★
발음 : [달타 ]
활용 : 닳아[다라], 닳으니[다르니], 닳는[달른], 닳습니다[달씀니다]
동사 動詞
- 1. すれる【擦れる】。すりへる【磨り減る】。すりきれる【擦り切れる】오래 쓰거나 갈려서 어떤 물건이 낡거나 길이, 두께, 크기 등이 줄다.ある物を長く使ったりこすったりして、古くなったり、長さ・厚さ・大きさなどが小さくなる。
- 가방이 닳다.
- 구두가 닳다.
- 굽이 닳다.
- 모서리가 닳다.
- 밑창이 닳다. See More
- 나는 손톱이 다 닳도록 가려운 곳을 긁어댔다.
- 연필심이 다 닳아서 연필깎이로 연필을 다시 깎았다.
- 책을 얼마나 오래 봤던지 책 모서리가 닳아서 뭉툭하다.
- 승규는 일 년이 넘도록 같은 신발을 신고 다녀서 신발 뒤축이 많이 닳아 있었다.
- 가: 구두 굽을 가시려고요?
- 나: 네, 제가 걸음걸이가 이상한 건지 한쪽 굽만 닳았더라고요.
- 문형 : 1이 닳다
- 2. につまる【煮詰まる】물기가 줄어들다.水分が減る。
- 국이 닳다.
- 국물이 닳다.
- 물이 닳다.
- 찌개가 닳다.
- 찌개가 다 닳아서 국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 어머니는 진한 국물 맛이 좋다고 물이 닳도록 국을 한참 더 끓였다.
- 가: 찌개가 좀 많이 짜네.
- 나: 그래? 국물이 너무 닳았나 보다.
- 문형 : 1이 닳다
- 3. きれる【切れる】기름이나 전기 등을 써서 없어지다.油や電気などを使って無くなる。
- 건전지가 닳다.
- 기름이 닳다.
- 배터리가 닳다.
- 전기가 닳다.
- 전지가 닳다.
- 장난감 자동차가 건전지가 다 닳아서 작동이 잘 안 됐다.
- 자동차의 기름이 다 닳아서 주유소에 가서 기름을 넣었다.
- 가: 휴대 전화는 왜 꺼져 있었던 거야?
- 나: 충전을 못 했더니 배터리가 닳아서 꺼져 버렸어.
- 문형 : 1이 닳다
관용구 · 속담(1)
- 관용구 닳고 닳다
담1 ★★
발음 : [담 ]
명사 名詞
へい【塀】。かき【垣】。かきね【垣根】
집이나 일정한 공간의 둘레를 막기 위해 쌓아 올린 것.
家や一定の空間の周りを区切るために積み上げた囲い。
- 담 구멍.
- 담 너머.
- 담이 높다.
- 담을 넘다.
- 담을 넘어가다. See More
- 담 밖으로 나온 가지에 감들이 주렁주렁 열려 있다.
- 이 집은 담이 아주 높아서 골목에서 집 안이 보이지 않는다.
- 가: 요즘에 우리 동네에 도둑이 많다는데.
- 나: 아직도 남의 집 담을 넘는 그런 사람들이 많은가 봐요.
- 유의어 담장
관용구 · 속담(2)
담2 ★★
발음 : [담ː ]
명사 名詞
- 1. つぎ【次】어떤 차례에서 바로 뒤.ある順序のすぐ後。
- 담 날.
- 담 달.
- 담 사람.
- 담 시간.
- 담 차례.
- 민준이 담에 검사 받을 사람은 앞에 나와 있어라.
- 나는 졸업식 담 날에 친구들과 여행을 가기로 약속했다.
- 가: 청소 당번 담 차례가 누구지?
- 나: 오늘은 내가 당번이고 내일은 지수야.
- 본말 다음
- 2. つぎ【次】이번 차례의 바로 뒤.今回のすぐ後。
- 담 노래.
- 담 말.
- 담 사람.
- 담 순서.
- 담 신호. See More
- 반장은 담 시간이 수학 수업으로 바뀌었다고 전했다.
- 나는 목소리만 듣고도 담에 나오는 가수가 누구인지 알아챘다.
- 가: 나는 이번 역에 내려야 해.
- 나: 잘 가! 나도 담 역에 내려서 갈아탈 거야.
- 본말 다음
- 3. つぎ【次】나란히 있는 것들 중에서 바로 닿아 있는 것.並んでいるものの中ですぐ後に続くもの。
- 담 건물.
- 담 골목.
- 담 다리.
- 담 사거리.
- 담 신호등. See More
- 나는 마음에 드는 신발을 찾지 못해서 담 가게로 들어갔다.
- 사람들로 북적이는 이 골목과 달리 바로 담 골목은 몹시 한산하다.
- 가: 여기가 김민준 씨 댁인가요?
- 나: 아니요, 김 씨네는 우리 집 담 집이에요.
- 본말 다음
- 4. つぎ【次】。あと【後】어떤 일이 끝난 뒤.物事が終わった後。
- 끝난 담.
- 떠난 담.
- 본 담.
- 일어난 담.
- 출발한 담.
- 도둑이 이미 달아난 담에야 경찰이 도착했다.
- 우리는 밥을 먹은 담에 차를 마시러 자리를 옮겼다.
- 가: 친구한테 비밀을 괜히 얘기했나봐.
- 나: 이미 말한 담에 후회해 봐야 무슨 소용이야.
- ※ 주로 '-은 담에'로 쓴다.
- 본말 다음
- 5. つぎのとき【次の時】。こんど【今度】시간이 지난 뒤.時が経った後。
- 담을 기약하다.
- 담을 약속하다.
- 담에 시도하다.
- 담에 찾아가다.
- 담에 후회하다. See More
- 나는 담에 커서 꼭 비행기 조종사가 될 것이다.
- 우연히 길에서 마주친 우리는 담에 밥을 먹기로 약속했다.
- 가: 오늘 만나서 정말 반가웠습니다.
- 나: 저도요. 담에 또 봅시다.
- 본말 다음
- 6. つぎ【次】。にばんめ【二番目】서열에서 바로 아래.序列ですぐ下。
- 담 위치.
- 담 자리.
- 담 지위.
- 담으로 아끼다.
- 담으로 잘하다. See More
- 나는 반에서 민준이 담으로 키가 가장 크다.
- 형은 우리 집에서 내가 어머니 담으로 무서워하는 사람이다.
- 가: 여기서 달리기 제일 빠른 사람이 누구야?
- 나: 승규가 제일 빠르고 그 담은 저예요.
- 본말 다음
- 7. (でない)かぎり【(でない)限り】어떤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말.そうではないという事実を強調して表す語。
- 남이 아닌 담에야.
- 바보가 아닌 담에야.
- 어린애가 아닌 담에야.
- 짐승이 아닌 담에야.
- 아프지 않은 담에야.
- 네가 정신이 나가지 않은 담에야 어떻게 그런 짓을 할 수 있어?
- 바보가 아닌 담에야 내 말을 네가 또 잊어버리지는 않을 거라 믿는다.
- 가: 승규는 대체 무슨 생각으로 저러는 걸까?
- 나: 본인이 아닌 담에야 그 속을 어떻게 알겠어?
- ※ 주로 '~이 아닌 담에야'로 쓴다.
- 본말 다음
- 8. つぎ【次】말이나 글에서 바로 뒤에 이어지는 것.言葉や文章ですぐ後に続くこと。
- 담 내용.
- 담 대화.
- 담 문제.
- 담을 듣다.
- 담을 살피다.
- 이제 담의 두 그림을 보고 틀린 곳을 모두 찾으세요.
- 담 글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짧은 글짓기를 해 봅시다.
- 가: 담 사항을 읽으시고 여기에 서명하시면 됩니다.
- 나: 여기에 서명만 하면 계약이 끝나는 건가요?
- 본말 다음
- 9. つぎ【次】뒤따라 생기는 결과.後に続く結果。
- 담을 대비하다.
- 담을 부담하다.
- 담을 예상하다.
- 담을 준비하다.
- 담을 책임지다.
- 나는 충동적으로 사표를 냈지만 그 담에 대해서는 전혀 대책이 없었다.
- 친구는 내가 사업을 시작하면 담은 자신이 알아서 하겠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 가: 지수는 왜 저렇게 말을 함부로 할까?
- 나: 그러니까 말을 뱉을 때 담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 같아.
- 본말 다음
담3 (痰)
발음 : [담ː ]
명사 名詞
- 1. たん【痰】폐에서 목구멍에 이르는 사이에서 생기는 끈적끈적하고 누런 물질.肺から喉の間でできる、ねばねばした黄色い物質。
- 담이 나오다.
- 담이 생기다.
- 담을 끓이다.
- 담을 뱉다.
- 담을 삭이다.
- 숨을 쉴 때마다 노인의 목구멍에 담이 끓는 소리가 났다.
- 아저씨는 담배를 피우는 간간이 담을 끌어올려 바닥에 칵 뱉어냈다.
- 가: 요새 목에 자꾸 담이 생겨서 말하기도 불편해.
- 나: 넌 담배를 너무 많이 피워서 그래.
- 2. こり【凝り】몸속에서 기운과 혈액이 잘 돌지 않고 한군데에 몰려 뭉쳐서 쑤시고 아픈 증세.体内で気と血液の循環が悪く、筋肉の一部が硬くなってズキズキと痛い症状。
- 담이 결리다.
- 담이 들다.
- 담이 오다.
- 담을 고치다.
- 담을 예방하다. See More
- 삼촌은 어깨에 담이 와서 목도 못 움직일 만큼 통증이 심했다.
- 어머니는 허리에 담을 풀기 위해 매일 물리 치료를 받으러 다니신다.
- 가: 허리에 담이 결린 게 점점 올라와서 요새는 목까지 아파.
- 나: 내가 침술 치료 잘하는 한의원을 아는데 거기 한번 가 봐.
담4 (膽)
발음 : [담ː ]
명사 名詞
- 1. たんりょく【胆力】겁이 없고 용감한 마음.恐れを知らず、いさましい心。
- 담이 세다.
- 담이 약하다.
- 담이 작다.
- 담이 크다.
- 담을 키우다.
- 나는 담이 약해서 무서운 영화를 끝까지 보지 못한다.
- 아버지는 아들의 담을 키워 주기 위해 야밤 산행을 나섰다.
- 가: 우리 밤에 저 묘지에 가 볼래?
- 나: 넌 참 담도 크다. 무섭지도 않니?
- 유의어 담력
- 2. たん【胆】、たんのう【胆のう】간에서 나와 소화를 돕는 쓸개즙을 잠시 저장하고 농축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肝臓でつくられて消化を助ける胆汁をしばらく蓄えて、濃縮する袋状の器官。
- 담의 기능.
- 담의 쓸개즙.
- 담이 약하다.
- 담을 치료하다.
- 담에 좋다.
- 주머니 모양으로 생긴 이 담은 간과 이어져 있는 작은 기관이다.
- 어떤 일에 크게 놀라 담이 약해지면 잠이 잘 안 오고 자주 깨는 증상이 올 수 있다.
- 가: 그건 무슨 차야?
- 나: 아버지께 드릴 생강차야. 생강이 담에 좋다더라고.
- 유의어 쓸개
담-2 (淡)
참고 : 색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앞에 붙는다.
접사 接辞
たん【淡】
'옅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淡い」という意を付加する接頭辞。
- 담색
- 담갈색
- 담녹색
- 담청색
- 담황색
'한국어기초사전 > 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담하다, 담담히, 담당, 담당관, 담당자, 담당하다, 담대하다, 담력, 담론, 담배 (0) | 2020.02.06 |
---|---|
담가-, 담겨-, 담그-, 담그다, 담금질, 담금질하다, 담기-, 담기다¹, 담기다², 담다 (0) | 2020.02.06 |
달포, 달필, 달하다, 닭, 닭고기, 닭똥, 닭띠, 닭발, 닭살, 닭싸움 (0) | 2020.02.06 |
달음질, 달음질치다, 달음질하다, 달이다, 달인, 달짝지근하다, 달착지근하다, 달콤하다, 달팽이, 달팽이관 (0) | 2020.02.06 |
달싹이다, 달싹하다¹, 달싹하다², 달아나-, 달아나다, 달아매다, 달아오르다, 달음박질, 달음박질치다, 달음박질하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