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랍시고
어미 語尾
だからといって。だとかいって
주어가 앞의 말을 뒤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에 대한 근거라고 내세우는 것을 말하는 사람이 못마땅하게 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主語が前の事柄を後にくる行動の根拠として示すことを、話し手が悪く評価する意を表す「連結語尾」。
  • 저런 인간도 기자랍시고 기사를 쓰고 있으니.
  • 주말이랍시고 나들이를 갈 시간이 있으면 공부나 해라.
  • 김 씨는 항상 잘 알지도 못하면서 전문가랍시고 떠들고 다닌다.
  • 가: 이게 웬 케이크야?
  • 나: 크리스마스랍시고 좋아하지도 않는 걸 한번 사 본 거야.
-래1
어미 語尾
  1. 1. なの。なのか
    (두루낮춤으로) 앞의 말이 나타내는 사실에 대하여 강하게 부정하거나 의문을 제기할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前の話の表す事実について強く否定したり疑問を提起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우와! 웬 꽃다발이?
    • 아니, 도대체 무슨 날벼락이.
    • 지수는 매일 학교 갈 때마다 난리?
    • 어머, 네 옆에 있는 귀여운 꼬마는 누구?
    • 다 큰 어른이 하는 행동은 왜 그 모양이?
    • 가: 민준이는 말끝마다 왜 그렇게 잘난 척을 한다니?
    • 나: 그러게. 누가 아니.
    • ※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길 때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대¹, -는대¹, -대¹
  2. 2. といったのか【と言ったのか】
    (두루낮춤으로) 앞에 오는 명령의 내용을 강하게 부정하거나 그 내용에 의문을 제기할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前にくる命令の内容を強く否定したりその内容について疑問を提起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내가 언제 가지 말? 갔다가 일찍 오라고 하는 거지.
    • 위험하니까 같이 가자고 했잖아. 누가 혼자 가?
    • 설명서 보고 하랬지. 누가 이렇게 네 맘대로 하?
    • 가: 학교 담에 낙서하다가 선생님한테 엄청 혼났어요.
    • 나: 그러니까 누가 그런 데다 낙서하?
    • 가: 왜 이렇게 늦었어. 한참 기다렸잖아.
    • 나: 내가 언제 너더러 나 기다려 달?
    • 가: 나도 매일 너 데려다 주는 거 힘들어.
    • 나: 안 데려다 주면 되겠네. 누가 그러?
    • ※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길 때 주로 수사의문문으로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래¹
-래2
참고 : '-라고 해'가 줄어든 말이다.
  1. 1. だって。だとさ。そうだ
    (두루낮춤으로) 다른 사람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할 때 쓰는 표현.
    (略待下称)話し手が聞いて知っていることを聞き手に伝え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민준이는 아버지께서 의사이시.
    • 유민이가 제일 좋아하는 계절은 겨울이.
    • 지수는 이 영화가 가장 감명 깊게 본 영화.
    • 가: 다음 수업 시간에 배울 작품은 이 작품이 아니.
    • 나: 누가 알려줬어?
    • 선생님께서 알려주셨어.
    •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대², -는대², -대²
  2. 2. だって。というのか【と言うのか】
    (두루낮춤으로) 듣는 사람이 이전에 들어서 알고 있는 사실을 물어볼 때 쓰는 표현.
    (略待下称)聞き手が過去に聞いて知っている事実について尋ねるのに用いる表現。
    • 그 사람은 출신이 서울이?
    • 이번 학기 시험 기간이 언제?
    • 오늘 미술 시간 준비물이 이거?
    • 옆 반에 새로 전학 온 학생은 누구?
    • 유민이가 다룰 수 있는 악기가 피아노?
    • 가: 승규는 고향이 어디?
    • 나: 서울이 고향이.
    •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대², -는대², -대²
  3. 3. しろって。しろだって。しろっていうんだ【しろって言うんだ】
    (두루낮춤으로) 다른 사람이 말한 명령이나 요청 등의 내용을 옮겨 말할 때 쓰는 표현.
    (略待下称)他人から受けた命令や要請などの内容を伝言として述べるのに用いる表現。
    • 자기가 쓴 물건은 각자 치우.
    • 이번 과제는 다음 주에 제출하.
    • 언니, 엄마가 나갈 때는 불을 꼭 끄.
    • 선생님께서 이 내용은 중요하니까 잘 정리하.
    • 가: 승규야, 민준이가 지우개 좀 빌려 달.
    • 나: 응. 지우개 여기 있어.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래, -재¹
  4. 4. しろだって。しろというのか【しろと言うのか】。しろとのことか
    (두루낮춤으로) 듣는 사람이 이전에 들어서 알고 있는 명령이나 요청 등을 물어볼 때 쓰는 표현.
    (略待下称)聞き手が過去に聞いて知っている命令や要請などについて尋ねるのに用いる表現。
    • 이불은 여기에다 깔?
    • 우리끼리 알아서 대회를 준비하?
    • 책꽂이에서 꺼낸 책은 제자리에 가져다 두?
    • 접수를 기다리면서 필요한 서류를 미리 챙기?
    • 가: 엄마가 집 앞에 쌓인 눈을 빗자루로 쓸?
    • 나: 응. 형이랑 나랑 같이 빗자루질 하라고 하셨어.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래, -재¹
-래도
참고 : ‘-라고 하여도’가 줄어든 말이다.
  1. 1. ても。でも。であっても。といっても
    앞에 오는 말이 어떤 상황을 가정하거나 실제 상황을 제시하지만 뒤에 오는 말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がある状況を仮定したり実際の状況を提示したりするが、後の言葉には何の影響も及ぼさない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친한 친구 사이래도 예의를 잘 지켜야 해.
    • 내 잘못이 아니래도 아무도 믿어주지 않았다.
    • 아무리 힘든 일이래도 사람들의 힘을 합하면 못할 것이 없다.
    • 어려운 상황이래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면 좋을 결과가 있을 거예요.
    • 가: 어제 삼계탕을 먹었는데 정말 맛있었어요. 오늘 또 먹을까요?
    • 나: 오늘은 다른 거 먹어요. 맛있는 음식이래도 너무 자주 먹으면 질리기 마련이에요.
    •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대도, -는대도, -대도
  2. 2. しろといっても【しろと言っても】
    앞에 오는 말이 어떤 행위를 할 것을 명령하거나 요청하지만 뒤에 그것과 관계없거나 반대되는 내용이 옴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がある行為をすることを命令したり要請しても、それと関係ない内容や反対の内容がく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곧 기차가 떠난다고 빨리 오래도 늑장을 부리더니 결국 기차를 놓치고 말았어.
    • 승규는 어머니가 아무리 숙제부터 하고 놀래도 집에 오자마자 게임부터 한다.
    • 민준이는 건강에 나쁜 인스턴트 음식을 먹지 말래도 말을 안 들어요.
    • 가: 지수 씨는 또 밥 안 먹어요?
    • 나: 바쁠 때는 밥부터 먹고 일하래도 안 듣는 성격이잖아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래도
-래라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난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しろとつたえなさい【しろと伝えなさい】。しろといいなさい【しろと言いなさい】
(아주낮춤으로) 다른 사람에게 어떤 명령을 전달하라고 시킬 때 쓰는 표현.
(下称)他人にある命令を伝えるように述べるのに用いる表現。
  • 시끄러우니까 라디오 좀 끄래라.
  • 아이들한테 여기서는 뛰어다니지 말래라.
  • 뒤에 오는 사람들한테 계단이 높으니까 내려올 때 조심하래라.
  • 언니한테 밤에 다니면 위험하니까 되도록 집에 일찍 들어오래라.
  • 가: 지수가 지금 자리에 없는데 메모 남겨 드릴까요?
  • 나: 아니야. 오면 나한테 전화 달래라.
  • ※ '-라고 해라'가 줄어든 말이다.
  • 참고어 -으래라
-래서
참고 : ‘-라고 하여서’가 줄어든 말이다.
  1. 1. なので。だから。ときいたから【と聞いたから】
    다른 사람에게 들은 내용을 근거로 다음 내용을 전개함을 나타내는 표현.
    他人から聞いた内容を根拠にして後にくる内容を展開させ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내 동생이래서 하는 말이 아니라 지수는 정말 착해.
    • 우리 엄마가 만든 요리래서 그러는 게 아니라 이건 정말 맛있어.
    • 그 영화는 내가 좋아하는 배우가 주인공이래서 꼭 보려고.
    • 가: 승규 정말 멋있지 않니? 내 남자 친구래서 그렇게 생각하는 게 아냐.
    • 나: 내 생각엔 그냥 평범한데 네 남자 친구래서 네 눈에만 그렇게 보이는 거야.
    •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대서, -는대서, -대서
  2. 2. しろというので【と言うので】。しろというから【と言うから】
    다른 사람에게 들은 명령의 내용을 근거로 다음 내용을 전개함을 나타내는 표현.
    他人から聞いた命令の内容を根拠にして後にくる内容を展開させ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이사하는 날 일찍 오래서 아침도 못 먹고 왔다.
    • 엄마가 숙제부터 하래서 집에 오자마자 책상 앞에 앉았다.
    • 신입 사원 교육 때 웃는 얼굴로 인사하래서 웃는 표정부터 연습하고 있다.
    • 가: 너, 어디 갔다가 이렇게 늦게 오니?
    • 나: 누나가 도서관에 책 반납하러 갔다 오래서 들렀다 왔어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래서
-래서야
참고 : '-라고 해서야'가 줄어든 말이다.
  1. 1. といって【と言って】。といっては【と言っては】
    듣거나 알게 된 사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부정적으로 판단함을 나타내는 표현.
    聞いた事実や知った事実について疑問を提起したり否定的に判断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같은 팀의 일인데 자기 일이 아니래서야 되겠습니까?
    • 아기가 있는 집이래서야 밤이고 낮이고 시끄러워도 된답니까? 주변을 배려해야지요.
    • 매일 먹는 음식이 라면이래서야 건강을 어떻게 유지하겠어요?
    • 가: 청소년을 아기래서야 독립적으로 성장할 수 있겠어요?
    • 나: 제 눈에는 마냥 아기 같아서요.
  2. 2. しろといっては【しろと言っては】。しろといっても【しろと言っても】。しろというなんて【しろと言うなんて】
    명령의 내용을 전달하면서 그 내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부정적으로 판단함을 나타내는 표현.
    命令の内容を伝えながらその内容について疑問を提起したりそれを否定的に判断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래서야 잘 할 수 있겠어?
    • 멀리 있는 사람더러 지금 당장 오래서야 갈 수 있겠니.
    • 아이가 예의에 어긋난 행동을 하는데도 혼내지 말래서야 바르게 자라겠어?
    • 가: 학생들이 영화 한 편을 보여 줬더니 다 졸지 뭐야.
    • 나: 그렇게 지겨운 영화를 보래서야 누가 안 자고 버틸 수 있을까?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래서야
-래야
참고 : ‘-라고 하여야’가 줄어든 말이다.
  1. 1. といってこそ【と言ってこそ】。であってはじめて【であって初めて】
    앞에 오는 말이 뒤에 오는 말의 조건임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が後にくる言葉の条件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약이래야 아이들이 손을 안 대요.
    • 자기 물건이래야 간수를 잘 하지요.
    • 승규는 스포츠 뉴스래야 보지 다른 뉴스는 안 봐요.
    • 가: 우리 애들은 책을 안 읽어서 걱정이에요.
    • 나: 아이들은 만화책이래야 관심을 보여요.
    •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대야, -는대야, -대야
  2. 2. としても。といっても【と言っても】
    어떤 상황을 가정했을 때 그것이 별로 심각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표현.
    ある状況を仮定した場合、それがあまり深刻なものでも難しいものでもない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반지래야 얼마나 한다고요? 제가 사 드릴 테니 잃어버렸다고 너무 상심 마세요.
    • 고장이래야 고칠 수 있을 정도니 걱정마세요.
    • 그 일이 전문적이래야 어렵지 않으니까 금방 배울 거예요.
    • 가: 급한 일이 생겨서 약속 시간을 바꿔야 하는데 어떡하죠?
    • 나: 약속 시간이래야 우리 둘이 조정하면 되니까 신경 쓰지 마세요.
    •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대야, -는대야, -대야
  3. 3. しろといってこそ【しろと言ってこそ】。しろといってはじめて【しろと言って初めて】
    앞에 오는 명령이나 요청 등의 말이 뒤에 오는 말의 조건임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命令や要請などの言葉が後にくる言葉の条件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엄마가 가래야 갈 수 있어.
    • 전화하래야 하지 아무 말 안 하면 연락 안 하잖아.
    • 집주인이 살래야 살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냐.
    • 가: 당신, 아이들한테 잔소리 너무 자주 하는 거 아니야?
    • 나: 애들은 뭐든 하래야 하지 아니면 아무것도 안 해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래야
참고 : 받침 없는 명사 뒤에 붙여 쓴다.
조사 助詞
  1. 1. と
    비교의 대상이거나 기준으로 삼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比較の対象、または基準となる対象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내 모자는 네 모자 사이즈가 같다.
    • 엄마는 나를 누나 항상 비교해서 기분이 상한다.
    • 지수는 승규 성격이 잘 맞아 거의 싸우지 않는다.
    • 가: 요새 부쩍 피곤해 보여.
    • 나: 응. 나이가 드니까 몸이 젊었을 때 많이 다르네.
  2. 2. と
    누군가를 상대로 하여 어떤 일을 할 때 그 상대임을 나타내는 조사.
    誰かを相手にして何かを行うとき、その相手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나는 친구 일찍 헤어지고 집으로 왔다.
    • 승규는 지수 다투고서 인사도 하지 않는다.
    • 나는 이제 약속 시간에 늦지 않겠다고 승규 약속했다.
    • 가: 엄마, 누나한테 내가 게임할 거니까 비키라고 해!
    • 나: 누나 싸우지 좀 마라.
  3. 3. と。といっしょに【と一緒に】
    어떤 일을 함께 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ある動作を一緒に行う対象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아버지 형은 함께 등산을 갔다.
    • 아이는 놀이터에서 친구 신 나게 놀고 있다.
    • 가: 내일 누구 영화 보러 가니?
    • 나: 지수랑 승규랑 같이 갈 거야.
  4. 4. と。や
    앞과 뒤의 명사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조사.
    前と後の名詞を同格でつなげる助詞。
    • 지수 승규는 아직 학생이다.
    • 유민이는 장기 자랑 시간에 노래랑 춤을 선보였다.
    • 아이들은 색종이 풀, 가위를 가지고 동물원을 만들었다.
    • 가: 너는 무슨 과일을 좋아하니?
    • 나: 나는 딸기 사과를 제일 좋아해.
랑데부 (rendez-vous)
명사 名詞
  1. 1. ランデブー。あいびき【逢い引き】。みっかい【密会】
    시간과 장소를 정해 남몰래 만나는 일.
    時間と場所を決めて、人目を避けて逢うこと。
    • 랑데부를 나누다.
    • 랑데부를 즐기다.
    • 승규는 첫눈에 반한 상대가 있으면 주저하지 않고 자신의 명함을 건네며 랑데부를 청했다.
    • 한 여인이 자신의 남자 친구가 토요일 밤마다 다른 여자와 랑데부를 즐긴다는 소문을 듣고 그의 뒤를 밟았다.
  2. 2. ランデブー
    두 개의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이 우주 공간에서 만나는 일.
    2つの人工衛星や宇宙船が宇宙空間で接近して飛行すること。
    • 랑데부 비행.
    • 랑데부 우주선.
    • 랑데부를 시도하다.
    • 랑데부에 성공하다.
    • 1975년 7월 미국과 소련 양국의 우주선이 지구 궤도상에서 랑데부에 성공함으로써 우주 개발이 협력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 이 위성은 1995년 발사되어 러시아의 우주 정거장에 랑데부를 하는 형식으로, 다른 인공위성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지구를 관찰하고 있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