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있다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 뒤에 붙여 쓴다.
어이구머니
발음 : [어이구머니 ]
감탄사 Thán từ
úi trời ơi, ui giời ơi
매우 심하게 아프거나 힘들거나 놀라거나 기막힐 때 내는 소리.
Âm thanh phát ra khi đau, vất vả, ngạc nhiên hay sững sờ một cách rất nghiêm trọng.
- 어이구머니, 이제 나는 죽었다. 붙잡을 지푸라기라도 어디 없나?
- 어이구머니, 심장 떨려 죽는 줄 알았잖아. 그렇게 깜짝 놀래키면 어떡하니?
- 가: 어이구머니! 이게 몇 년 만이야? 그간 어디서 어떻게 지낸거야?
- 나: 죄송해요, 어머니. 제가 너무 철이 없어 이제서야 정신을 차렸어요. 걱정 많이 하셨죠?
어이없다 ★
발음 : [어이업따 ]
활용 : 어이없는[어이엄는], 어이없어[어이업써], 어이없으니[어이업쓰니], 어이없습니다[어이업씀니다], 어이없고[어이업꼬], 어이없지[어이업찌]
형용사 Tính từ
vô lí, phi lí
너무 뜻밖의 일을 당해서 기가 막히는 듯하다.
Gặp phải việc quá bất ngờ nên có vẻ sững sờ.
- 어이없는 거짓말.
- 어이없는 대답.
- 어이없는 변명.
- 어이없는 상황.
- 어이없는 얼굴. See More
- 방심하다 우승을 빼앗긴 그는 어이없는 결과에 허탈한 듯 헛웃음만 나왔다.
- 학생의 뻔한 거짓말에 선생님은 어이없다는 듯이 고개를 저었다.
- 가: 여보, 오늘은 진짜 일찍 들어오려고 했는데 회식이라 늦었네.
- 나: 나 참, 정말 어이없어서 말도 안 나오네.
- 문형 : 1이 어이없다
- 유의어 어처구니없다
어이없이
발음 : [어이업씨 ]
부사 Phó từ
một cách vô lí, một cách phi lí
너무 뜻밖의 일을 당해서 기가 막히는 듯하게.
Gặp phải việc quá bất ngờ nên có vẻ sững sờ.
- 어이없이 끝나다.
- 어이없이 넘어지다.
- 어이없이 당하다.
- 어이없이 무너지다.
- 어이없이 바라보다. See More
- 우리 팀은 잠깐의 부주의로 그만 어이없이 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 우승 유력 후보였던 A팀은 예상치 못한 실수로 어이없이 패배하고 말았다.
- 가: 거 봐! 내가 조심하라고 했지. 그렇게 세상 물정 모르고 순진하니까 손해만 보지.
- 나: 이제 다시는 어이없이 당하진 않을 거야. 나도 영악해질 거라고.
- 유의어 어처구니없이
어이쿠
발음 : [어이쿠 ]
감탄사 Thán từ
- 1. ui trời ơi, ối giời ơi매우 아프거나 힘들거나 분하거나 기막힐 때 내는 소리.Âm thanh phát ra khi rất đau, vất vả, ngạc nhiên hay sững sờ.
- 어이쿠,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되다니. 얼른 집에 가야겠어.
- 어이쿠, 내 발가락. 조심해야지. 문틈에 내 발가락이 끼었잖아.
- 가: 어이쿠, 이 놈! 간 떨어질 뻔했잖아.
- 나: 죄송해요, 할아버지. 너무 배가 고파서 그만.
- 여린말 어이구
- 2. ui chao, ui trời매우 반갑거나 좋을 때 내는 소리.Âm thanh phát ra khi rất vui mừng hoặc thích thú.
- 어이쿠, 이게 웬 떡이야. 사은품에 당첨되었어.
- 어이쿠, 이게 누구야? 우리 예쁜 지수 아니니?
- 가: 어이쿠, 그거 참 신통방통하다.
- 나: 그렇죠, 아버님? 새로 나온 안마기라 아주 시원하실 거예요.
- 여린말 어이구
- 3. ui trời ơi, ối giời ơi매우 절망하거나 좌절할 때 내는 소리.Âm thanh phát ra khi rất thất vọng hoặc dao động.
- 어이쿠, 이제 다 틀렸어. 더 이상 손 쓸 방법도 없는 걸.
- 어이쿠, 이제 우리 가족은 어쩌니? 빈 손으로 길거리에 나앉게 생겼으니, 원.
- 가: 어이쿠, 거지 신세가 됐어. 이제 뭐 먹고 살아.
- 나: 괜찮아. 우린 아직 젊으니까 다시 시작하면 돼.
- 여린말 어이구
어장 (漁場)
발음 : [어장 ]
명사 Danh từ
- 1. ngư trường고기잡이를 하는 곳.Nơi đánh bắt cá.
- 담수 어장.
- 양식 어장.
- 연안 어장.
- 근해의 어장.
- 원해의 어장. See More
- 태풍으로 인해 양식 어장들이 모두 황폐화되고 큰 피해를 입었다.
- 우리는 삼대에 걸쳐 부산에서 가장 큰 규모의 어장을 관리하고 유지하고 있다.
- 가: 여보, 근해 어장에서 잡은 싱싱한 물고기 여기 있어요.
- 나: 정말 신선하네요. 수고했어요. 얼른 맛있는 매운탕을 끓여 줄게요.
- 2. ngư trường풍부한 수산 자원이 있고 어업을 할 수 있는 곳.Nơi có nguồn thuỷ sản phong phú và có thể làm nghề đánh bắt.
- 풍부한 어장.
- 어장 조사.
- 어장이 급감하다.
- 어장을 개발하다.
- 어장을 이용하다. See More
- 우리나라의 동해는 한류와 난류가 만나 고기가 많이 잡히는 황금 어장이다.
- 신선하고 다양한 수산 자원이 풍부했던 어장들이 심각한 수질 오염으로 급격히 오염되었다.
- 가: 조금 있으면 고기잡이배들이 어장에 출어할 것입니다.
- 나: 글쎄요, 날씨가 사나워 힘들지 않을까요?
관용구 · 속담(1)
어저께1 ★★
발음 : [어저께 ]
명사 Danh từ
hôm qua
오늘의 하루 전날.
Một ngày trước của hôm nay.
- 어저께 아침.
- 어저께의 일.
- 어저께가 아버지 생신이었던 것도 몰랐니?
- 어저께부터 비가 오더니 그칠 줄을 모른다.
- 가: 어저께는 정말 감사했습니다.
- 나: 아닙니다. 별말씀을요.
- 유의어 어제¹
어저께2 ★★
발음 : [어저께 ]
어절 (語節)
발음 : [어ː절 ]
명사 Danh từ
từ ngữ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마디.
Các từ ngữ cấu thành câu.
- 한 어절.
- 어절 단위.
- 어절 수.
- 어절을 구분하다.
- 어절을 나누다. See More
- 그의 글은 어절 구분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의미 전달이 불분명하다.
- 어절은 띄어쓰기의 단위로, 체언과 조사가 붙어 구성되기도 하고 독립된 단어로 구성되기도 한다.
- ※ 문장을 이루는 최소 단위로 띄어쓰기의 단위이다.
어정쩡
발음 : [어정쩡 ]
부사 Phó từ
- 1. lưỡng lự, ngập ngừng, lập lờ말이나 행동이 분명하지 않은 태도.Thái độ mà lời nói hay hành động không rõ ràng.
- 어정쩡 서 있다.
- 어정쩡 손을 들다.
- 어정쩡 앉아 있다.
- 집으로 갈까 학교로 갈까 고민하면서 길에서 어정쩡 머뭇거렸다.
- 오늘 길에서 만난 사람이 내가 아는 김 선생님인지 잘 몰라서 어정쩡 인사해 버렸다.
- 가: 어정쩡 거기에 서 있지만 말고, 이리 와서 똑바로 말을 해 봐.
- 나: 미안해, 아직은 생각이 정리되지 않아서 너에게 말을 할 수 없어.
- 2. một cách vụng về, một cách ngượng ngịu, một cách lóng ngóng자연스럽지 못하거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 난처한 모양.Hình ảnh không được tự nhiên hoặc thế này không được thế kia cũng không được nên khó xử.
- 어정쩡 바라보기만 하다.
- 어정쩡 부자연스럽다.
- 나는 사람이 많은 곳에 가면 시선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 몰라서 어정쩡 먼 곳을 바라본다.
- 동생을 잃어버린 나는 어쩔 줄 몰라서 어정쩡 서서 발만 동동 굴렀다.
- 가: 너는 왜 항상 주머니에 손을 넣고 있니?
- 나: 제가 팔이 길어서 팔을 어정쩡 내리고 있는 것보다는 주머니에 손을 넣고 있는 것이 나아 보일 것 같아서요.
- 3. hồ nghi, đầy nghi hoặc의심스러워 마음에 걸리는 듯한 태도.Thái độ như nghi ngờ và vướng bận trong lòng.
- 어정쩡 승낙하다.
- 어정쩡 허락하다.
- 내가 숙제를 다 끝냈고 놀러 나간다고 하자 어머니는 어정쩡 고개를 끄덕이셨다.
- 민호가 장가를 간다고 하자 친구들은 믿을 수 없다는 듯이 서로를 어정쩡 쳐다보았다.
- 가: 언니, 그 남자랑 결혼하려는 거 부모님도 아셔?
- 나: 응. 사실 엄마만 어정쩡 승낙하신 상태야.
'한국어기초사전 > 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 죽다, -어지다, 어줍다, 어줍잖다, 어중간하다, 어중이떠중이, 어지간하다, 어지간히, 어지러우-, 어지러워- (0) | 2020.02.06 |
---|---|
-어 주다, 어정쩡하다, 어제¹, 어제², 어제저녁, 어젯밤, 어조, 어족¹, 어족², 어종 (0) | 2020.02.06 |
어우러지다, 어울려-, 어울리-, 어울리다, 어원, 어육, 어음, 어이¹, 어이², 어이구 (0) | 2020.02.06 |
-어 오다, -어요, 어어, 어업, 어여쁘다, 어여삐, 어엿이, 어엿하다, 어영부영, 어용 (0) | 2020.02.06 |
-어야, -어야겠-, -어야 되다, -어야만, -어야지¹, -어야지², -어야지요, -어야 하다, 어시장, 어안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