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선 (親善)
발음 : [친선 ]
명사 Noun
friendship; amity
서로 친하고 가까워 사이가 좋음.
The state of two or more persons being on good terms, as they are friendly and close.
- 친선 관계.
- 친선 대회.
- 친선을 강화하다.
- 친선을 다지다.
- 친선을 도모하다.
- 우리 마을은 이웃 마을들과 친선을 도모하고자 매년 축제를 열고 있다.
- 조선은 이웃 나라와 친선 관계를 유지하여 왕권의 확립과 국가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 우리 학교는 인근 학교들과 매년 친선 농구 경기를 가짐으로써 좋은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 가: 이번 축구 경기는 중요한 시합이야?
- 나: 아니, 그냥 친선 대회라서 부담을 안 가져도 돼.
친선 경기 (親善競技)
참고 : 붙여쓰기를 허용한다.
friendly match
서로 친하고 사이좋은 관계를 유지하거나 만들기 위해서 하는 경기.
A sport game held to maintain or create a mutually close and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eams.
- 축구 친선 경기.
- 친선 경기가 무산되다.
- 친선 경기가 열리다.
- 친선 경기를 가지다.
- 친선 경기를 벌이다. See More
- 친선 경기는 서로 친목을 다지기 위해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승부에 집착하지 않는다.
- 우리 학교 축구 팀은 이웃 학교 축구 팀들과 매년 친선 경기를 가짐으로써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가: 오늘도 경기 있어?
- 나: 있기는 한데 친선 경기라서 부담 없이 즐기다 오려고.
친손녀 (親孫女)
발음 : [친손녀 ]
명사 Noun
one's granddaughter
자기 아들의 딸.
The daughter of one's son.
- 귀여운 친손녀.
- 친손녀가 생기다.
- 친손녀를 보다.
- 친손녀를 아끼다.
- 친손녀를 예뻐하다.
- 우리 부부는 아들이 없어서 친손자, 친손녀는 없고 외손주만 있다.
- 할아버지는 외손녀인 고모 딸들만 좋아하고 친손녀인 나는 별로 좋아하지 않으신다.
- 가: 얘가 친손녀예요?
- 나: 우리 아들은 딸이 없고 얘는 외손녀야.
- 반대말 외손녀
친손자 (親孫子)
발음 : [친손자 ]
명사 Noun
one's grandson
자기 아들의 아들.
The son of one's son.
- 친손자와 친손녀.
- 친손자가 생기다.
- 친손자를 귀여워하다.
- 친손자를 보다.
- 친손자처럼 생각하다.
- 나는 친손자, 외손자를 차별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 작은할아버지는 손주가 없으셔서 그런지 나를 친손자처럼 생각하고 아껴 주신다.
- 가: 얼마 전에 친손자 보셨다면서요?
- 나: 아들 부부가 아이가 한참 없어서 걱정했는데 다행이지 뭐야.
- 반대말 외손자
친숙 (親熟)
발음 : [친숙 ]
활용 : 친숙이[친수기], 친숙도[친숙또], 친숙만[친숭만]
명사 Noun
familiarity
친하여 익숙하고 허물이 없음.
The state of being close to and familiar with someone, from whom one hides nothing.
- 친숙을 나타내다.
- 친숙을 느끼다.
- 친숙을 다지다.
- 친숙을 도모하다.
- 친숙을 표시하다.
- 이번 체육 활동을 통해 졸업생들은 후배들과 몸을 맞대며 친숙을 다지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 나는 물을 무서워하는 아이가 물에 대해 친숙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영을 같이 하기로 했다.
- 가: 저 둘은 단순한 친구를 뛰어넘은 사이인 것 같아.
- 나: 응, 친숙을 넘어 이제는 서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된 거지.
친숙하다 (親熟 하다) ★
발음 : [친수카다 ]
활용 : 친숙한[친수칸], 친숙하여[친수카여](친숙해[친수캐]), 친숙하니[친수카니], 친숙합니다[친수캄니다]
형용사 Adjective
familiar; friendly
친하여 익숙하고 허물이 없다.
Being close to and familiar with someone, from whom one hides nothing.
- 친숙한 사이.
- 친숙한 주제.
- 친숙하게 느끼다.
- 친숙하게 대화하다.
- 우리에게 친숙하다.
- 우리 딸은 낯을 많이 가려서 친숙하지 않은 사람을 보면 울곤 한다.
- 지수는 요즘 들어 가장 친한 친구인 나보다 다른 친구들이랑 더 친숙하게 지내는 것 같다.
- 가: 여자 친구랑 잘 지내?
- 나: 서로 아직 친숙한 사이가 아니라서 조금 어색해.
- 문형 : 1이 2에/에게 친숙하다, 1이 (2와) 친숙하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 유의어 친근하다
친아들 (親 아들) ★★
발음 : [치나들 ]
명사 Noun
biological son
자기가 낳은 아들.
The son to whom one gave birth.
- 친아들이 생기다.
- 친아들로 여기다.
- 친아들처럼 생각하다.
- 친아들처럼 아끼다.
- 우리 부부는 입양한 아이를 정말 우리가 낳은 친아들처럼 생각하고 키웠다.
- 내가 사위를 친아들로 여기며 잘 대해 주는 만큼 사위도 나를 친어머니 대하듯 한다.
- 가: 내 아들이야.
- 나: 친아들인데도 하나도 안 닮았네요.
친아버지 (親 아버지) ★★
발음 : [치나버지 ]
친애하다 (親愛 하다)
발음 : [치내하다 ]
동사 Verb
love; feel affection for
매우 가깝고 친하게 여기며 사랑하다.
To feel close and attached to, and love someone.
-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 친애하는 당신.
- 친애하는 동지.
- 친애하는 스승.
- 친애하는 시민 여러분.
- 오늘은 내가 친애하는 선생님의 생신이다.
- 친애하는 학생 여러분, 모두 학기를 잘 마치셨는지요?
- 친애하는 직원 여러분, 항상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대통령은 국민을 친애하여 그들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처럼 여기었다.
- 문형 : 1이 2를 친애하다
친어머니 (親 어머니) ★★
발음 : [치너머니 ]
'한국어기초사전 > 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정아버지, 친정어머니, 친정집, 친족, 친지, 친척, 친필, 친하다, 친할머니, 친할아버지 (0) | 2020.02.07 |
---|---|
친언니, 친오빠, 친일, 친일파, 친자, 친자식, 친절, 친절하다, 친절히, 친정 (0) | 2020.02.07 |
친목계, 친목회, 친밀, 친밀감, 친밀하다, 친부, 친부모, 친분, 친삼촌, 친서 (0) | 2020.02.07 |
친교, 친구, 친권, 친권자, 친근감, 친근하다, 친동생, 친딸, 친모, 친목 (0) | 2020.02.07 |
치하하다, 치한, 치환, 치환되다, 치환하다, 칙칙폭폭, 칙칙하다, 친-, 친가, 친고죄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