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Poland)
명사 名詞
ポーランド
동유럽 북부에 있는 나라. 국토의 대부분이 평야이며 주요 생산물로는 밀, 감자 등이 있다. 공용어는 폴란드어이고 수도는 바르샤바이다.
東ヨーロッパの北部に位置する国。主要生産物は小麦、じゃがいもなど。公用語はポーランド語で首都はワルシャワ。
폴란드어 (Poland 語)
명사 名詞
ポーランドご【ポーランド語】
폴란드 사람들이 쓰는 언어.
ポーランド人が使う言語。 
  • 폴란드어 사전.
  • 폴란드어 회화.
  • 폴란드어 서적.
  • 폴란드어 문법.
  • 폴란드어를 공부하다.
  • See More
  • 한국에는 폴란드어 서적이 많지 않다.
  • 폴란드어로 화장실이 뭔지 좀 가르쳐 주세요.
  • 가: 폴란드어를 전혀 모르는데 폴란드 여행을 할 수 있을까?
  • 나: 그 나라의 언어를 몰라도 여행하는 데 큰 문제는 없을 거야.
폴짝
발음 : [폴짝 ]
부사 副詞
  1. 1. ぱっと。ぱたん。ぽんと
    작은 문 등을 갑자기 한 번 열거나 닫는 모양.
    小さい戸などを急に一度開けたり閉じたりするさま。
    • 폴짝 열다.
    • 딸아이가 선물로 받은 인형 집 문을 한 번 폴짝 열어 보았다.
    • 벽걸이 시계에서 작은 문이 폴짝 열리면서 뻐꾸기가 나와 시간을 알렸다.
    • 가: 지수야, 자동차 장난감 가지고 놀까? 자동차 어딨지?
    • 나: 이 문을 누르면 문이 폴짝 열리면서 자동차가 나와요.
  2. 2. ぴょん
    작은 것이 세차고 가볍게 한 번 뛰어오르는 모양.
    小さい物が軽く、勢いよく跳びあがるさま。
    • 폴짝 뛰다.
    • 폴짝 뛰어오르다.
    • 아이들은 폴짝 뛰는 개구리를 신기한 듯이 쳐다보았다.
    • 지수는 자기가 응원하는 팀이 우승하자 폴짝 뛰며 기뻐했다.
    • 가: 방금 메뚜기 봤어?
    • 나: 응. 봤어. 폴짝 뛰어오르더라!
폴짝폴짝
발음 : [폴짝폴짝 ]
부사 副詞
  1. 1. ぱたんぱたん
    작은 문 등을 자꾸 갑자기 열거나 닫는 모양.
    小さい戸などを何度も開けたり閉じたりするさま。
    • 폴짝폴짝 여닫다.
    • 폴짝폴짝 열다.
    • 동생은 장난감 차의 문을 폴짝폴짝 여닫으며 놀았다.
    • 민준이가 자꾸 작은 창문을 폴짝폴짝 열어서 정신이 사나웠다.
    • 가: 가만히 좀 있으렴. 문을 폴짝폴짝 여닫을 때마다 찬바람이 들어오잖니.
    • 나: 네, 가만히 있을게요.
  2. 2. ぴょんぴょん
    작은 것이 자꾸 세차고 가볍게 뛰어오르는 모양.
    小さい物が繰り返し軽く、勢いよく跳びあがるさま。
    • 폴짝폴짝 달아나다.
    • 폴짝폴짝 도망가다.
    • 폴짝폴짝 뛰다.
    • 아이들이 캥거루 흉내를 내면서 폴짝폴짝 뛰어다녔다.
    • 산토끼는 사람들이 가까이 가자 폴짝폴짝 달아나 버렸다.
    • 승규는 학교 숙제로 곤충 채집을 하는데 폴짝폴짝 뛰는 메뚜기를 잡기란 쉽지 않았다.
    • 가: 아이가 폴짝폴짝 뛰어가는 모습이 정말 귀엽네요.
    • 나: 저러다 넘어질까 겁나요.
폴폴
발음 : [폴폴 ]
부사 副詞
  1. 1. ひらひら。ちらちら
    눈이나 먼지, 연기 등이 흩날리는 모양.
    雪・塵・煙などが舞い散るさま。
    • 김이 폴폴 나다.
    • 눈이 폴폴 내리다.
    • 먼지가 폴폴 날리다.
    • 연기가 폴폴 나다.
    • 입김이 폴폴 나다.
    • 날씨가 제법 추워져 숨을 쉴 때마다 입김이 폴폴 났다.
    • 승규는 김이 폴폴 올라오는 따뜻한 욕조에 몸을 담궜다.
    • 먼지가 폴폴 날리는 다락방에서 어렸을 적 갖고 놀던 장난감을 발견하였다.
    • 가: 자동차에 하얀 연기가 폴폴 나와요.
    • 나: 엔진에 문제가 생겼나 봅니다.
  2. 2. ぴょんぴょん
    동작이 빠르고 힘이 넘치는 듯이 자꾸 뛰거나 나는 모양.
    素早く、勢いよく飛び跳ねるさま。
    • 폴폴 날다.
    • 폴폴 날아다니다.
    • 폴폴 날아들다.
    • 폴폴 뛰다.
    • 폴폴 뛰어다니다.
    • See More
    • 꽃밭에 나비들이 폴폴 날아다녔다.
    • 아이들은 소파에서 폴폴 뛰며 장난을 쳤다.
    • 가: 아이들이 폴폴 뛰어다니니까 통제가 안 돼요.
    • 나: 그렇죠? 아이들은 기운이 넘쳐요.
  3. 3. ふつふつ。ぐつぐつ
    적은 물이 자꾸 끓어오르는 모양.
    少量の水が沸き返るさま。
    • 폴폴 끓어 넘치다.
    • 폴폴 넘쳐흐르다.
    • 폴폴 넘치다.
    • 폴폴 올라오다.
    • 물이 폴폴 끓다.
    • 목욕탕에 온수가 폴폴 넘쳐흘렀다.
    • 냄비에 물이 폴폴 끓자 라면과 스프를 넣었다.
    • 가: 주전자에 물이 폴폴 끓으면 바로 스위치를 꺼 줘.
    • 나: 네, 알았어요.
  4. 4. ぷんぷん
    냄새가 자꾸 나는 모양.
    においがしきりに鼻をつくさま。
    • 냄새가 폴폴 나다.
    • 술 냄새가 폴폴 나다.
    • 향기가 폴폴 나오다.
    • 갓 구운 빵에서 고소한 향이 폴폴 났다.
    • 바다가 가까워지자 바다 냄새가 폴폴 풍겨 왔다.
    • 가: 어디선가 좋은 향기가 폴폴 나네요.
    • 나: 아, 선물로 받은 향수를 뿌렸거든요.
(form)
명사 名詞
  1. 1. フォーム。みがまえ【身構え】
    사람이 어떤 동작을 할 때에 취하는 자세.
    人がある動作をする時の姿勢。
    • 이 다르다.
    • 이 안정되다.
    • 이 좋다.
    • 이 크다.
    • 을 바꾸다.
    • 양 선수는 코치의 지적대로 을 바꾸자 성적이 한결 좋아졌다.
    • 민준이는 농구 선수 출신이라 그런지 공을 던지는 이 남달랐다.
    • 가: 칼을 잡는 이 예사롭지 않은데.
    • 나: 집에서 요리를 자주 하거든요.
  2. 2. かっこう【恰好・格好】
    겉으로 드러내는 멋이나 모양.
    外から見た形や姿。
    • 이 나다.
    • 을 내다.
    • 을 잡다.
    • 으로 꾸미다.
    • 으로 하다.
    • 키도 크고 늘씬한 모델은 무엇을 입어도 이 났다.
    • 지수는 을 내려고 한겨울에도 미니스커트를 입고 다닌다.
    • 가: 아, 미안. 전화 온 줄 몰랐네.
    • 나: 휴대폰은 으로 들고 다니냐. 전화 좀 받어.
  3. 3. フォーム。ようしき【様式】
    서류의 일정한 형식.
    書類の一定の形式。
    • 을 주다.
    • 에 맞다.
    • 에 맞추다.
    • 에 맞지 않는 원서는 실격으로 처리가 되니 주의하여 주십시오.
    • 사원들은 회사에서 제시하는 에 맞추어 문서를 작성하도록 되어 있다.
    • 가: 을 줄 테니까 이대로 신청서를 써 주세요.
    • 나: 네, 알겠습니다.
관용구 · 속담(2)
퐁당
발음 : [퐁당 ]
부사 副詞
ぽちゃん
작고 단단한 물건이 물에 떨어지거나 빠질 때 가볍게 한 번 나는 소리.
小さくて硬い物が水に落ちるときの軽い音。
  • 퐁당 소리가 나다.
  • 퐁당 소리를 듣다.
  • 물에 퐁당 뛰어들다.
  • 물에 퐁당 빠지다.
  • 연못에 퐁당 빠지다.
  • 개구리가 호수에 퐁당 뛰어 들었다.
  • 나는 와인에 초콜릿을 퐁당 빠뜨려 먹는 것을 좋아한다.
  • 배가 갑자기 흔들리는 바람에 휴대폰을 놓쳐 바다에 퐁당 빠뜨렸다.
  • 가: 우리 누가 연못에 돌을 멀리 던지나 시합하자.
  • 나: 그래. 좋아. 연못에 돌이 퐁당 빠진 위치로 겨루는 거야.
퐁당퐁당
발음 : [퐁당퐁당 ]
부사 副詞
ぽちゃんぽちゃん
작고 단단한 물건이 계속 물에 떨어지거나 빠질 때 가볍게 나는 소리.
小さくて硬い物がしきりに水に落ちるときの軽い音。
  • 퐁당퐁당 소리가 나다.
  • 퐁당퐁당 돌을 던지다.
  • 퐁당퐁당 물장구를 치다.
  • 물에 퐁당퐁당 떨어지다.
  • 연못에 퐁당퐁당 뛰어들다.
  • 나는 호수에 내리는 퐁당퐁당 빗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 아이들은 물수제비 내기를 하며 연신 연못에 퐁당퐁당 돌을 던졌다.
  • 가: 저기 냇가에서 아이들이 퐁당퐁당 물장구를 치고 있네?
  • 나: 우리도 가서 같이 놀까?
1 (表) ★★
발음 : [표 ]
명사 名詞
  1. 1. ひょう【表】
    어떤 내용을 일정한 형식과 순서에 따라 보기 좋게 나타낸 것.
    ある事柄を、一定の形式や順序に従い、一目で分かるように書き表したもの。
    • 간단한 .
    • 를 그리다.
    • 를 만들다.
    • 를 작성하다.
    • 로 나타내다.
    • See More
    • 나는 구입한 내역을 로 깔끔하게 정리했다.
    • 각 제품의 기능을 로 정리해 둬서 한눈에 비교할 수 있었다.
    • 가: 목록을 이렇게 나열하지 말고 로 만드는 건 어때?
    • 나: 아, 그게 더 보기 좋겠네요.
  2. 2.
    겉으로 드러나는 표시나 흔적.
    外にあらわれる標識や痕跡。
    • 가 나다.
    • 가 안 나다.
    • 가 없다.
    • 를 남기다.
    • 를 하다.
    • 나는 대청소를 했지만 하나도 가 나지 않았다.
    • 정원에는 향기로운 꽃들로 가득해 열심히 가꾼 가 났다.
    • 가: 어제 머리 잘랐는데 아무도 못 알아봐.
    • 나: 진짜? 하나도 가 안 나서 나도 몰랐어.
2 (票) ★★★
발음 : [표 ]
명사 名詞
  1. 1. きっぷ【切符】。けん【券】。チケット
    어떤 권리가 있음을 증명하는 쪽지.
    権利があることを証明する紙片。
    • 비행기 .
    • 영화 .
    • 가 남다.
    • 가 매진되다.
    • 를 구하다.
    • See More
    • 나는 인터넷으로 영화 를 두 장 예매했다.
    • 추석을 앞두고 있어서 기차나 비행기나 모두 가 없는 상황이다.
    • 가: 제주도에 여행 간다면서? 준비는 다 했어?
    • 나: 응. 이제 비행기 만 끊으면 돼.
  2. 2. ひょう【票】
    선거를 할 때에, 유권자가 자기의 의사를 표시하는 쪽지.
    選挙で有権者が自分の意思を表示する紙片。
    • 가 나오다.
    • 가 모이다.
    • 를 내다.
    • 를 얻다.
    • 를 행사하다.
    • 승규는 이번 주민 투표에서 찬성하는 쪽에 표를 냈다.
    •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 우리 당은 를 많이 얻지 못했다.
    • 가: 유민아, 반장 선거에서 이겼니?
    • 나: 는 많이 얻었지만 아깝게 떨어졌어요.
  3. 3. ひょう【票】
    선거를 할 때에, 유권자가 투표한 쪽지를 세는 단위.
    選挙で有権者が投票した紙片を数える単位。
    • .
    • 두세 .
    • .
    • 여러 .
    • .
    • 기권한 후보에게 투표한 오백 표가 무효가 되었다.
    • 유민이는 반장 선거에서 두 차이로 아깝게 졌다.
    • 가: 김 후보가 시장에 당선되었죠?
    • 나: 네, 이천 차이로 시장으로 당선되었습니다.
    •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관용구 · 속담(1)
3 (標)
발음 : [표 ]
명사 名詞
  1. 1. しるし【印】。めじるし【目印】。ひょうしき【標識】。マーク
    준거가 될 만한 흔적.
    証拠になる痕跡。
    • 확실한 .
    • 를 남기다.
    • 를 찾다.
    • 를 하다.
    • 로 삼다.
    • 민준이는 비상금을 끼워둔 책에 살짝 를 해 뒀다.
    • 지수는 책갈피가 없어 책장을 접어 어디까지 읽었는지 를 했다.
    • 가: 김 씨, 교대할 때는 다음 작업자가 어디부터 일해야 할지 알 수 있도록 를 해 놓고 가요.
    • 나: 네, 알겠습니다.
  2. 2. しゅう【臭】。くささ【臭さ】
    다른 것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그것만의 두드러진 특징.
    他とは区別される、そのものだけの著しい特徴。
    • 가 나다.
    • 가 나타나다.
    • 가 있다.
    • 를 내다.
    • 사람들을 잘 챙기는 민준이는 맏이 가 났다.
    • 지수는 거짓말을 하면 얼굴이 빨개져 다 가 났다.
    • 가: 민준이는 안경을 끼고 바른 자세로 책을 읽는 모습이 딱 모범생 가 나네.
    • 나: 그러게. 실제로도 민준이는 모범 학생 상도 받기도 했어.
  3. 3. ブランド
    상표의 뜻을 나타내는 말.
    商標の意を表す語。
    • 유명 브랜드 .
    • 지수는 항상 같은 브랜드 옷만 입었다.
    • 나는 유명 브랜드 신발을 잃어버려 너무 속이 상했다.
    • 가: 그 옷은 어디 야?
    • 나: 국내에는 아직 안 들어온 브랜드야.
  4. 4.
    '그 사람이 만든 물건'의 뜻을 나타내는 말.
    「その人が作った物」との意を表す語。
    • 신랑.
    • 아빠.
    • 엄마.
    • 주부.
    • ※ 일부 명사 뒤에 붙여 쓴다.
표결 (票決)
발음 : [표결 ]
명사 名詞
ひょうけつ【票決】
투표를 해서 결정함.
投票によって決定すること。
  • 국회 표결.
  • 예산안 표결.
  • 표결 방법.
  • 표결 원칙.
  • 표결 처리.
  • See More
  • 새로운 예산안이 표결 끝에 통과되었다.
  • 각 국의 대표들이 모여 결의안 표결을 실시하였다.
  • 두 단체의 통합 여부를 찬반 표결로 결정하기로 하였다.
  • 가: 서로의 의견 차이가 너무 커서 이대로는 합의가 어려워.
  • 나: 그럼 표결에 부치자.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