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대야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는다고 하여야’가 줄어든 말이다.
- 1. といってはじめて【と言って初めて】앞에 오는 말이 뒤에 오는 말의 조건임을 나타내는 표현.前にくる言葉が後にくる言葉の条件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밥을 먹는대야 식사 준비를 하죠.
- 저를 믿는대야 당신한테 속 이야기를 할 수 있지요.
- 일자리를 찾는대야 저도 같이 알아봐 주지요.
- 가: 승규를 믿고 일을 맡겨 보세요. 잘 해낼 거예요.
- 나: 저하고 손을 잡는대야 일을 믿고 맡기죠.
- 2. といっても【と言っても】。としても어떤 상황을 가정했을 때 그것이 별로 심각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표현.ある状況を仮定した場合、それがあまり深刻なものでも難しいものでもない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그분이 사장 자리에 앉는대야 뭐가 문제 될 게 있어요?
- 아이가 먹는대야 얼마나 먹겠어요.
- 지금 출발했다고 하니 늦는대야 많이 늦겠어요?
- 가: 유민이가 밥을 굶는대야 얼마나 가겠어요?
- 나: 그래도 벌써 두 끼나 굶어서 걱정이에요.
-는대요1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는대요2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는다고 해요’가 줄어든 말이다.
- 1. といっていました【と言っていました】。そうです。ですって(두루높임으로) 다른 사람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할 때 쓰는 표현.(略待上称) 他人の話の内容を間接的に伝えるのに用いる表現。
- 승규는 네 살인데 벌써부터 한글을 읽는대요.
- 여보, 옆집 아들은 매년 장학금을 받는대요.
- 갑자기 직원이 그만둬서 민준이네 가게에서 일할 사람을 급하게 찾는대요.
- 가: 내일 지수가 놀러 온다고 했지? 지수는 무슨 음식을 좋아한다니?
- 나: 지수는 아무거나 잘 먹는대요.
- 2. といっていましたか【と言っていましたか】。そうですか(두루높임으로) 듣는 사람이 이전에 들어서 알고 있는 사실을 물어볼 때 쓰는 표현.(略待上称) 聞き手が過去に聞いて知っている事実について尋ねるのに用いる表現。
- 다들 식사 후에 후식도 먹는대요?
- 모임이 끝나면 단체 사진도 찍는대요?
- 오늘 봉사 활동에서는 길거리의 쓰레기도 줍는대요?
- 가: 이번 글쓰기 대회에서 누가 대상을 받는대요?
- 나: 그건 아직 공개되지 않았대요.
-는댔는데
といっていたが【と言っていたが】。そうだが
과거에 들었던 말의 내용을 전하면서 뒤에 그 말의 내용과 대립되거나 관련되는 사실이 옴을 나타내는 표현.
過去に聞いた話の内容を伝えながら、後にそれと対立する内容か関連する事実がく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지수는 너만 믿는댔는데 네가 그렇게 모르는 척할 줄은 몰랐어.
- 내가 살찐다고 빵은 안 먹는댔는데 엄마가 빵을 잔뜩 사 오셨다.
- 행인이 아까 이 길이 맞는댔는데 와 보니 목적지와 전혀 다른 곳이었다.
- 가: 엄마, 배불러서 더 이상 못 먹겠어요.
- 나: 먹는 걸 남기면 벌을 받는댔는데 너 자꾸 밥을 남길래?
-는댔자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는데
참고 : '있다', '없다', '계시다'나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 동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が。けど뒤의 말을 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관련이 있는 상황을 미리 말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何かを言うための前置きとして、それと関連した状況を前もって述べる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식사 시간이 되었는데 괜찮다면 같이 밥 먹을래?
- 이쪽으로 가다 보면 작은 꽃집이 하나 있는데 그 옆이 네가 찾는 곳이야.
- 유민이가 민준이에게 선물로 책을 받았는데 그 책은 마침 유민이가 사려던 것이었다.
- 가: 나한테 마침 영화 표가 두 장 있는데 영화 보러 가지 않을래?
- 나: 나야 좋지.
- 2. (だ)ね。(だ)なあ(두루낮춤으로) 듣는 사람의 반응을 기대하며 어떤 일에 대해 감탄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聞き手の反応を期待しながら何かについて感嘆している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그 옷이 너한테 아주 잘 어울리는데.
- 이 사람 피아노를 정말 기가 막히게 치는데?
- 지수가 일을 다 해 놓은 것을 알면 부장님께서 깜짝 놀라시겠는데.
- 가: 선생님, 문제를 다 풀었으니 채점을 해 주세요.
- 나: 이야, 다 맞았는데.
- 3. の일정한 대답을 요구하며 물어보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一定の答えを求めて問う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점심 때 뭘 먹었는데?
- 주말에 어디에 갔는데?
- 오빠, 지금 누구 만나러 가는데?
- 넌 피아노를 얼마나 배웠는데?
- 가: 승규야, 이번 시험 잘 봤어?
- 나: 난 못 봤어. 너는 몇 점 받았는데?
-는 데다가
うえに【上に】。にくわえ【に加え】。にくわえて【に加えて】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상태에 다른 행동이나 상태가 덧붙여져서 정도가 더 심해짐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や状態にもう一つの行動や状態が加えられ、その程度がさらにひどくな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그 영화는 주인공이 연기를 잘하는 데다가 이야기도 재미있어서 흥행에 성공했다.
- 우리 엄마가 직접 만들어 주시는 간식은 맛있는 데다가 영양도 풍부하다.
- 아버지는 담배를 피우시는 데다가 술도 자주 드셔서 건강이 나빠지셨다.
- 그 가수는 인터뷰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데다가 잘하는 일을 직업으로 갖게 되어 행복하다고 했다.
- 가: 승규야, 약속 시간이 다 돼 가는데 아직 출발을 안 했어?
- 나: 미안해. 지금 출발하는 데다가 지수를 데리고 가야 해서 더 늦을 것 같아.
-는데도
のに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상황에 상관없이 뒤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상황이 일어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の表す状況とは関係なく、後にくる言葉の表す状況が起こ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조금 전에 밥을 먹었는데도 또 배가 고파요.
- 밖에 눈이 많이 오는데도 거리에 사람들이 많다.
- 그 선수는 아까 경고를 받았는데도 또 반칙을 해서 결국 퇴장을 당했어요.
- 가: 열두 시가 다 되어 가는데도 지수가 안 들어오네요.
- 나: 벌써 시간이 그렇게 됐네요. 전화해 볼게요.
-는데도 불구하고
にもかかわらず【にも拘わらず】
앞에 오는 말의 내용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과 다르거나 반대되는 사실이 뒤에 옴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内容から期待できるものと異なった事実、またはその期待に反する事実が後にく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지수는 아침부터 서둘렀는데도 불구하고 학교에 늦고 말았다.
- 소나기가 쏟아지는데도 불구하고 공연장에는 많은 관중들이 모였다.
- 승규는 눈이 많이 오는데도 불구하고 외출을 했다.
- 어머니는 약을 드시는데도 불구하고 증상이 더 심해지셨다.
- 가: 어제 본 영화는 어땠어?
- 나: 정말 별로였어. 기대를 하지 않고 봤는데도 불구하고 지루해서 졸았을 정도였지.
-는데야
から。いじょう【以上】。というから【と言うから】。といういじょう【と言う以上】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상태 때문에 뒤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상태도 어쩔 수 없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の表す状態のため、後にくる言葉の表す状態も仕方ないもの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저렇게 자식이 유학을 원하는데야 어쩔 수 없이 보내야지 않겠어요?
- 이렇게 치밀하게 사기를 치려고 다가오는데야 당하지 않을 사람이 없지.
- 상대 팀에 날렵한 골키퍼가 있는데야 우리 편이 골을 넣기 쉽지 않겠어.
- 몰랐으면 넘어가지만 사업이 망해 아이들 학비가 없다는데야 안 도와줄 수가 없겠군.